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“노룩? 사포? 그거 다 짜친다” 선수들이 뽑은 최악의 기술들

by koreaamateursports 2025. 4. 22.
반응형

네이마르

🏆 프로 선수들이 꼽은 “쪼들리는 축구 기술” TOP 5와 황당한 심판 판정들

 

<small>▲ 팬들이 보면 화려하지만, 선수들이 보면 “쪼들리는 기술”이라고? </small>

실전에서 뛰는 선수들의 시선은 다릅니다. 우리가 중계로 볼 때 "우와!" 하는 장면들도, 정작 선수들끼리는 "저거 왜 해?" "쪼들린다…"는 반응이 나올 때가 많죠. 오늘은 실제 프로 선수들의 입을 통해 나온 쪼들리다고 여겨지는 축구 기술들, 그리고 직접 겪었던 황당한 심판 판정들까지 정리해 봤습니다.


⚽ 선수들이 생각하는 “쪼들리는 축구 기술” 베스트 5

실전에서 쓰면 짜증 폭발, 심하면 6개월짜리 부상도 각오해야 한다는 기술들입니다.

 

1. 안토니의 360도 회전 드리블

  • 기술 이름: 안토니 턴
  • 선수들 평가: “의미 없다”, “감독이면 바로 교체”, “그걸 왜 도냐?”
  • 실제 사례: 수비 앞에서 돌다 공 뺏기고 감독에게 교체된 사례 다수

2. 사포 (라보나를 포함한 ‘다리 사이로 넘기기’ 계열)

  • 선수들 반응: “놀리는 거냐?”, “공격수면 몰라도 수비수 앞에선 죽는다”
  • 실제로 유럽에서도 상대 조롱으로 인식, 싸움 유발 기술로 분류됨
  • K리그 실전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음

3. 노룩 패스

  • 핵심 문제: “자기만 속는다”, “자기만 만족한다”
  • 상황: 시선은 오른쪽, 패스는 왼쪽 → 수비는 이미 다 알고 있음
  • 선수 평가: “눈에 띄려고만 하는 허세 플레이”

4. 머리로만 드리블

  • 기술 이름: 헤딩 드리블, 머리로 툭툭 치며 전진
  • 반응: “시즌아웃 감”, “공격수면 6개월 휴식 예상”
  • 이유: 공보다 머리에 집중 → 시야 좁아짐 → 수비 입장에서 막기 쉽고 짜증 유발

5. 프리킥 가짜 러너 (여러 명이 뛰어나가고 결국 한 명만 차는 연기)

  • 선수 평가: “의미 없다”, “자기도 관중”
  • 단, 일본에서 실제로 7~8명이 뛰어나가서 혼란 유도한 전략은 예외적으로 효과 인정

🤬 선수들이 꼽은 황당한 심판 판정

<small>▲ 가끔은 웃고, 가끔은 속 터졌던 실제 심판 판정 사례들 </small>

 

🟥 1. 리플레이 보고 판정 번복

  • 상황: 서울 이랜드 vs 경남 경기
  • 리플레이 틀지 말라는 규정에도 불구하고 전광판에서 리플레이 나옴
  • 심판이 보고 업사이드임을 인지하고 판정 번복 → 경남 승리

🟨 2. 손으로 살짝 건드렸는데 프리킥

  • 상황: 안산 vs 성남
  • 거의 접촉도 없었는데 프리킥 선언 → 관우 선수 본인도 놀람
  • “기분 좋은데 왜 슬프지…”

🟩 3. 유니폼 갈아입다 경고 위기

  • 경기 중 찢어진 유니폼 갈아입으려다 실수로 경기장 안에서 상의 탈의
  • 심판에게 인사 잘해둬서 “이번만 봐준다” → 무경고 진행

🤡 실전보다 더 짜증 나는 ‘쪼들리는 행동’들

  • ❌ 골 넣고 인디언 흉내 (손 제스처 + 약 올리는 표정): “진짜 죽고 싶냐”는 소리 나옴
  • ❌ 알 넣었다고 “알랭~ 알랭~” 흉내: 수비수 눈 돌아감, “흰자밖에 안 보인다”
  • ❌ 귀에 바람 불기: “그건 러브라인이지 축구가 아님”, 실제 공격수한테 당한 사례도

📌 선수들 입장에서 기술이 쪼들리다고 느껴지는 이유는?

  • 대부분 상대를 조롱하거나 약 올리는 요소가 포함돼 있음
  • 실전 경기에서는 스포츠맨십 위반, 상대 자존심 건드림으로 해석
  • “잘하는 선수는 이해하지만, 못하는 선수가 하면 더 짜증 난다”는 공통 의견

✅ 마무리: ‘쪼들리는 기술’도 결국은 실력 따라 다르다?

쪼들리다고 여겨지는 축구 기술은 결국 사용하는 선수의 실력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메시나 네이마르가 사포를 쓰면 “오~”가 되지만, 무리한 플레이는 동료도 짜증 나게 하죠.

선수들끼리의 리얼 토크에서 알 수 있듯, 실전 축구는 중계로 보는 것보다 훨씬 더 섬세하고 감정적입니다. 다음 경기에서 누군가 이런 기술을 쓴다면, 선수들의 속마음을 떠올려 보세요. 단순히 멋져 보이는 게 다가 아닐 수도 있으니까요!

반응형